ISO 37001 국제심사원

ISO 37001 국제심사원

  • ISO 37001란?

    ISO 3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2016년 10월 마련한 것으로, 부패방지를 위해 각국 기업이 실행해야 하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규모와 형태에 관계없이 모든 조직에서 반부패경영시스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획/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ISO 37001은 요구사항의 체계적인 반영과 경영시스템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PDCA 모형에 따라 이행사항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 [PDCA 항목별 ISO 37001 주요 내용(요약)]
    Plan(계획)
    4장. 조직사황
    ISO 37001은 부패리스크를 효율적으로 완화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조직의 상황과 목적에 맞게 운영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조직상황”을 다음의 다섯 가기 요소로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 조직의 목적에 대한 이해
    -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에 대한 이해
    - 시스템(Management system)의 적용범위와 적용가능성 결정
    - 기존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의 유무와 개선, 대응조치 파악
    - 부패리스크 식별
    5장. 리더십
    ISO 37001 내 리더십과 관련된 요구사항은 아래 세 가지로 구성됩니다.
    - 최고경영자 혹은 지배기구의 의지 표명
    - 부패방지 방침 수립, 유지 및 검토
    - 부패방지 책임자의 역할 및 책임부여
    6장. 기획
    이번 단계는 구체적인 부패의 목표와 방법을 기획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요구합니다.
    - 리스크와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
    - 부패방지경영시스템 목표 수립 및 달성 대상, 필요 지원, 책임자, 사기 등을 포함한 사항을 결정한 후, 목표 달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획
    DO(실행)
    7장. 지원
    실행을 위해 조직이 지원해야 하는 것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수립, 실행, 유지, 보수하는 전 과정에 걸쳐 시간, 인원, 예산 설비를 비롯한 자원제공
    - 역량/적격성(관련업무를 수행하는 인원들에게 필요한 역량 결정, 고용 절차 및 징계 시 부패방지 방침 및 시스템 준수 요구)
    - 인식과 교육훈련(최신화된 교육을 정기적으로 제공)
    - 의사소통(부패방지 방침 전체를 내, 외부 관계자들에게 전달, 소통)
    - 위 내용 모두를 문서화된 정보로 보유
    8장. 운용
    운용 단계에서는,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의 실행 사전과 사후, 그리고 진행 과정 중에 수행해야 하는 총 열 가지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①운용 기획 및 관리 ②실사 ③재무적 관리 ④비 재무적 관리 ⑤조직은 물론, 협력사 등을 비롯한 비즈니스 관련자와 관련 부패 리스크 관리 수단, ⑥부패방지에 대한 의지 표명, ⑦선물, 접대, 기부 및 유사한 편익, ⑧부패방지 관리의 부적절성 파악 및 관리, ⑨문제, 우려사항 제기, ⑩부패에 대한 조사 및 조치
    Check(평가)
    9장. 성과평가
    부패방지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실행했다면, 이제 이에 대한 성과를 진단하고 보완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과평가는 아래의 요소를 중심으로 진행 합니다.
    -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 주기적인 내부심사
    - 최고경영자 검토 및 지배기구 검토
    - 부패방지 책임자 검토
    Act(개선)
    10장. 개선
    평가 단계에서 부적합 사항을 발견했다면, 조직은 아래 사항들을 실행해야 합니다.
    - 시정조치 : 원인파악, 유사환 부적합 요인의 존재 및 잠재적 발생가능성 평가 등을 거쳐, 근본적인 원인 제거를 위한 조치가 필요한지 평가 등을 거쳐, 근본적인 원인 제거를 위한 조치가 필요한지 평가
    - 지속적인 : 시정조치의 효과성, 적절성 및 충족성을 평가하여 필요 시, 조직의 시스템을 변경 하는 등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