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SC 22000 규격의 이해 |
1 범위
2 인용규격
3 용어와 정의
4 조직상황
- 4.1 조직과 조직상황의 이해
- 4.2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이해
- 4.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적용범위 결정
- 4.4 식품안전경영시스템
5 리더십
-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 5.2 방침
- 5.2.1 식품안전방침의 수립
- 5.2.2 식품방침에 대한 의사소통
-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6 기획
- 6.1 위험과 기회를 다루는 조치
- 6.2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목표와 목표달성 기획
- 6.3 변경의 기획
7 지원
- 7.1 자원
- 7.1 .1 일반 사항
- 7.1.2 인원
- 7.1.3 기반구조
- 7.1.4 작업 환경
- 7.1.5 외부에서 개발된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요소
- 7.1.6 외부에서 제공되는 프로세스, 제품 또는 서비스의 관리
- 7.2 역량/적격성
- 7.3 인식
- 7.4 의사소통
- 7.4.1 일반 사항
- 7.4.2 외부 의사소통
- 7.4.3 내부 의사소통
- 7.5 문서화된 정보
- 7.5.1 일반사항
- 7.5.2 작성 및 갱신
- 7.5.3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
8 운용
- 8.1 운용기획 및 관리
- 8.2 선행요건프로그램 [PRPs]
- 8.3 추적성 시스템
- 8.4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 8.4.1 일반사항
- 8.4.2 비상사태 및 사고 처리
- 8.5 위해요소관리
- 8.5.1 위해요소분석을 위한 예비단계
- 8.5.2 위해요소 분석
- 8.5.3 관리수단 및 관리수단 결합의 유효성 확인
- 8.5.4 위해요소 관리계획 (HACCP / OPRP(운용선행요건프로그램)계획)
- 8.6 PRPs와 HACCP계획을 규정한 정보의 갱신
- 8.7 모니터링 및 측정관리
- 8.8 PRP 및 위해요소 관리계획과 관련된 검증
- 8.8.1 검증
- 8.8.2 검증활동 결과의 분석
- 8.9 제품 및 프로세스 부적합 관리
- 8.9.1 일반사항
- 8.9.2 시정
- 8.9.3 시정조치
- 8.9.4 잠재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제품의 취급
- 8.9.5 회수/리콜
9 성과평가
-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 9.1.1 일반 사항
- 9.1.2 분석 및 평가
- 9.2 내부심사
- 9.3 경영검토
- 9.3.1 일반사항
- 9.3.2 경영검토 입력사항
- 9.3.3 경영검토 출력사항
10 개선
- 10.1 부적합 및 시정조치
- 10.2 지속적 개선
- 10.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갱신
ISO TS22002-1 요구사항
|